티스토리 뷰
목차
기초연금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다고요? 그렇게 단순했다면 매년 수만 명이 탈락하지 않았을 겁니다. 탈락자의 1순위 사유는 ‘이것’입니다. 제대로 몰라서, 확인 안 해서 탈락합니다. 지금부터 절대 피해야 할 수급 실패 요인을 정확히 알려드릴게요.
기초연금은 고령층의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하지만 안타깝게도 매년 수만 명이 ‘조건을 갖췄음에도’ 수급에 실패합니다.
수급 탈락자 1위 사유: ‘소득인정액 초과’
가장 많은 탈락 사유는 바로 ‘소득인정액 초과’입니다. 기초연금은 단순히 나이만 넘는다고 주는 제도가 아닙니다. 📌 소득 +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합계가 기준 이하일 때만 수급 가능합니다.
소득인정액 기준 (2025년)
- 단독가구: 월 228만 원 이하
- 부부가구: 월 364만 8천 원 이하
이 기준을 넘는 순간 ‘조건 탈락’입니다. ✔️ 즉, 집이 있거나 예금이 많아도 탈락할 수 있고, ✔️ 근로소득, 연금수령액도 모두 포함됩니다.
소득인정액이 뭔가요?
소득인정액은 다음의 두 항목 합계입니다.
- ① 소득평가액 : 근로소득, 기타소득 등
- ② 재산의 소득환산액 : 부동산, 예금, 차량 등
예시 계산:
📌 재산 1억 5천만 원 - 기본재산액(대도시 기준 1억 3,500만 원) = 1,500만 원 📌 환산: 1,500만 × 0.04 ÷ 12 = 약 5만 원 📌 국민연금 월 60만 원 수령 시 → 총 소득인정액 = 65만 원 → 조건 충족 가능성 높음
잘못된 오해, 꼭 바로잡아야 합니다
- ❌ “부모님 집이 있으면 안 돼요” → X, 기본재산액 공제 후 계산!
- ❌ “자동차가 있으면 무조건 탈락이에요” → X, 일반차량이면 감안!
- ❌ “국민연금 받으면 못 받아요” → X, 일부 감액되더라도 수급 가능!
탈락 피하는 꿀팁
- ✅ 부채 있으면 증빙자료 제출 → 소득환산액 줄이기
- ✅ 10년 이상 차량은 비포함 → 감산 가능
- ✅ 모의계산 꼭 하기 → 복지로 또는 국민연금공단에서 무료로 가능
신청 방법 요약
- 읍·면·동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방문
-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
서류: 신분증, 통장사본, 가족관계증명서, 재산·소득 증빙자료
결론: 기준 넘기 전, 먼저 계산부터 하세요
기초연금은 단 한 번의 계산과 신청으로 매달 수십만 원의 수급이 가능합니다. 그런데도 ‘소득인정액 초과’라는 이유로 탈락하는 분들이 너무 많습니다.
📌 신청 전에 반드시 계산부터 하시고, 📌 조건 충족 시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