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기초연금을 받고 있는데 이사를 하면 탈락될까요? 주소가 바뀌면 소득 기준이 바뀌는 건 아닐까 걱정되시죠? 특히 읍·면·동 간 이동, 대도시 이사 시 조건이 달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 지금부터 이사와 기초연금 수급 조건의 관계를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기초연금 수급 중 이사를 계획하고 있다면, 주소 이전이 수급 자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 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단순한 이사만으로 수급이 탈락되지는 않습니다. 하지만 조건에 따라 ‘소득인정액’ 계산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1. 이사하면 기초연금 자동 취소될까?
❌ 아닙니다. 이사 자체는 수급 자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 다만, 주소 변경을 주민센터에 신속히 신고하지 않으면 지급 지연, 자격 심사 오류, 부정 수급 판정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2. 주소에 따라 기준이 달라진다?
⭕ 맞습니다. 기초연금의 ‘소득환산액’ 계산 시, 주택·부동산은 거주지에 따라 기본재산액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
- 대도시: 1억 3,500만 원
- 중소도시: 8,500만 원
- 농어촌: 7,250만 원
즉, 시골 → 대도시 이사 시에는 기본재산 공제가 늘어나 수급 조건에 **유리할 수** 있고, 반대로 대도시 → 농어촌 이동 시 **공제액이 줄어 불리할 수** 있습니다.
3. 이사 후 꼭 해야 할 조치
- 📌 주민등록 이전 신고 필수 (읍·면·동 주민센터)
- 📌 변경된 주소로 수급자 관리 재심사 가능성 있음
- 📌 재산 상황 변화 시 반드시 고지 (예: 주택 가격 상승)
4. 이사 후 기초연금 감액·탈락 가능 사례
- ✔ 대도시 → 농어촌 이동, 기본재산 공제 축소로 소득인정액 초과
- ✔ 주소 신고 누락으로 ‘부정수급’ 처리
- ✔ 재산증가·자동차 추가 구매 시 소득환산액 증가로 탈락
5. 그래도 이사해야 할 경우 꿀팁
👉 이사 전에 국민연금공단 상담 또는 복지로 모의계산기로 수급 유지 가능성 사전 확인하세요.
📌 공단 또는 주민센터에 “주소 이전 예정” 알리면 사전 평가 후 불이익 방지할 수 있습니다.
결론: 이사 자체는 문제없지만, 변경 신고와 사전 점검은 필수!
기초연금 수급 중 이사하면 자동 탈락된다는 건 오해입니다. 하지만 주소와 주택 가격, 차량 소유 등 재산 평가 기준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상담과 모의계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