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임업직불금, 어떻게 하면 받을 수 있을까요? 2025년부터 바뀐 기준은 더욱 명확해졌고, 놓치면 탈락할 수 있는 세부 요건도 많아졌습니다. 산림 소유자는 물론, 실질 경영자도 반드시 체크해야 할 A to Z 전격 정리!
🟢 A. 기본 요건부터 점검
- 임업경영체 등록자: 2022년 9월 30일 이전 등록자만 가능
- 실제 종사기간: 직전 1년간 60일 이상 활동 증빙 필요
- 거주지 요건: 산지 인접 시·군·구 또는 해당지역 내 주소지
- 소득 요건: 농업 외 종합소득 3,700만 원 미만
🟩 B. 직불금 유형별 요건 분석
🌲 임산물 생산업
- 0.1ha 이상~30ha 이하 산지에서 임산물 생산
- 연간 판매금액 120만 원 이상 (법인: 4,500만 원 이상)
🌳 육림업
- 최근 10년간 육림 실적 3ha 이상 보유
- 산지 소유 또는 입목 등기 등록 필수
- 목재 판매액 1,600만 원 이상 또는 투입비용 800만 원 이상
🟥 C. 지급 제외 유형
- 국·공유림 또는 개발 예정지, 태양광 설치지 등
- 기준 미달 소득자, 면적 부족 산주
- 다른 공익직불금 수령자
🟦 D. 제출 서류 A to Z
- 임업직불금 등록신청서
- 임업경영체 등록 확인서
- 산림경영일지 (60일 이상 작업 증빙)
- 임산물 판매 영수증 또는 송금내역
- 임대차 계약서(해당 시)
- 소규모임가: 가족관계증명서, 소득증빙
💸 지급단가 정리
- 소규모임가: 연 130만 원 정액
- 일반 품목 면적 직불:
- 0.1~2ha: 94만 원/ha
- 2~6ha: 82만 원/ha
- 6~30ha: 70만 원/ha
- 송이 품목 등은 별도 단가 적용
반응형